전공
[ 운영체제 ] 메모리 할당 방식
조강철10
2025. 6. 2. 12:54
반응형
메모리 할당 방식은 연속 메모리 할당, 불연속 메모리 할당 방식으로 나눠진다.
연속 메모리 할당
: 프로세스 하나의 메모리를 하나의 연속된 물리 주소 공간에 적재
- 고정 분할
: 물리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 파티션으로 나누고, 파티션 1개에 프로세스 1개 적재
파티션 내부에 사용할 수 없는 남는 공간이 생기는 내부 단편화 문제가 발생한다.
- 가변 분할
: 물리 메모리를 프로세스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파티션으로 분할
프로세스들이 드나들변서 생긴 빈 공간이 연속적이지 않아 프로세스를 적재할 수 없는 외부 단편화 문제가 발생한다.
-> 병합, 집약/압축의 방법으로 단편화 문제 해결

- 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 3가지 방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최초 적합 : 첫번째로 발견한 공간에 할당한다.
최적 적합 : 프로세스를 적재하고 남은 공간이 가장 적은 공간에 할당한다.
최악 적합 : 프로세스를 적재하고 남은 공간이 가장 많은 공간에 할당한다.
불연속 메모리 할당
: 프로세스 하나의 메모리를 쪼개어 분산된 물리 주소 공간에 적재
세그먼테이션
: 프로그램의 논리적인 영역을 세그먼트로 구성(가변 분할 방식)
장점
유연한 메모리 관리
세그먼트 공유가 간단함
페이지 테이블에 비해 세그먼트 테이블의 크기가 작음
단점
복잡한 메모리 관리 알고리즘
세그먼트가 클수록 외부 단편화가 커짐
가변 크기이므로 스와핑에 적절하지 않음
반응형